임시정부 27년 간의 역사를 온전히 떠안은 여성, 정정화. 가흥에서는 엄항섭 일가와 이동녕 선생을 모셨으며 남경에서는 백범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와 그의 아들을 돌봤다.
1940년, 중경에 정착한 임시정부는 다시 항일 투쟁의 중심에 섰고 정정화는 한국애국부인회 등 여성단체에서 활약하며 중국에서 나고 중국에서 자란 아이들을 위해 선생님으로도 활동한다.
모국의 산과 들, 모국의 냄새 모국의 마음을
얘기로만 듣고 자라난 아이들이었다나는 틈만 나면 독립된 그들의 조국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얘기해주었다어쩌면 그것은 내가 나에게 들려주는
내 나라의 이야기였는지도 모른다.? 수당 정정화 <장강일기> 중에서 ?
독립자금을 모으기 위해 압록강을 여섯 번 건넌 그녀는 불굴의 정신으로 조국의 독립을 이끈 독립운동가였다.


뉴스타파는 정부, 기업의 광고나 협찬 없이 개인 후원회원들이 보내주시는 회비로만 제작·운영되고 있습니다.

99% 시민의 편에서 1% 기득권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정치권력, 자본권력으로부터 철저히 독립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뉴스타파는 정부, 기업의 광고나 협찬 없이 개인 후원회원들이 보내주시는 회비로만 제작·운영되고 있습니다.
뉴스타파 정기회원 가입은 세상을 바꾸기 위한 가장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
![[타파스]잊혀진 이름, 여성독립운동가 2편 : 가려진 독립운동, 박자혜 [타파스]잊혀진 이름, 여성독립운동가 2편 : 가려진 독립운동, 박자혜](http://newstapa.org/wp-content/uploads/2015120502_title.jpg)
[타파스]잊혀진 이름, 여성독립운동가 2편 : 가려진 독립운동, 박자혜
2015년 12월 5일[타파스]잊혀진 이름, 여성독립운동가 1편 : 독립을 향한 날갯짓, 권기옥
2015년 11월 23일같은 카테고리의 기사
